1) 부수와 부수의 변형자가 옳은 것은? a) 人 : 亻 b) 示 : 衤 c) 水 : 忄 d) 肉 : 阝 e) 手 : 刂 2)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을 가진 부수와 변형자는? a) 辵 : 辶 b) 衣 : 月 c) 火 : 忄 d) 刀 : 灬 e) 攴 : 扌 3) 털이 나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로, '털'을 뜻함. a) 石 b) 少 c) 多 d) 毛 e) 手 4) 내린 눈을 빗자루로 쓰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로, '눈'을 뜻함. a) 景 b) 和 c) 訓 d) 流 e) 雪 5) 손으로 고깃덩이를 잡고 있는 모습에서 '소유하다', '있다'라는 뜻이 생김 a) 先 b) 音 c) 母 d) 淸 e) 有 6) 숫자를 바르게 표시한 것은? a) 사:五 b) 오:六 c) 칠:七 d) 팔:四 e) 九:十 7) 한자어를 바르게 읽은 것은? a) 苦杯: 채식 b) 茂盛: 고배 c) 甘草: 무성 d) 雪景: 설원 e) 和音: 화음 8) 한자어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은? a) 白虎: 백호 b) 虎皮: 호피 c) 速步: 속보 d) 讓步: 양보 e) 的中: 명중 9) '무슨 일이든지 생각대로 잘 들어맞음'이라는 속뜻을 지닌 한자성어는? a) 百發百中 b) 九牛一毛 c) 千辛萬苦 d) 七顚八起 e) 聞一知十 10) '매우 총명함'을 뜻하는 한자성어는? a) 百發百中 b) 九牛一毛 c) 千辛萬苦 d) 七顚八起 e) 聞一知十 11) '온갖 어려운 고비를 다 겪으며 몹시 고생함'을 뜻하는 한자성어는? a) 百發百中 b) 九牛一毛 c) 千辛萬苦 d) 七顚八起 e) 聞一知十 12) '한 가지 일을 하여 두가지 이익을 얻음'을 뜻하는 한자성어는? a) 百發百中 b) 九牛一毛 c) 千辛萬苦 d) 一石二鳥 e) 聞一知十 13) '마음이 서로 통하여 속마음을 알아주는 벗'이라는 뜻의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結草報恩 e) 鷄卵有骨 14) '한신, 한고조(유방)'과 관련있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結草報恩 e) 鷄卵有骨 15) '백아, 종자기'와 관련있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螢雪之功 e) 鷄卵有骨 16) '세종, 황희'와 관련있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螢雪之功 e) 鷄卵有骨 17) '차윤, 손강'과 관련있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螢雪之功 e) 鷄卵有骨 18) '심부름을 가서 오지 않거나 늦게 온 사람'과 관련있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螢雪之功 e) 鷄卵有骨 19) '운이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일이 잘 안됨'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知音 b) 多多益善 c) 咸興差使 d) 螢雪之功 e) 鷄卵有骨 20)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익을 얻음'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漁父之利 b) 五十步百步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1) '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차이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漁父之利 b) 五十步百步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2)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에서 차이가 없음'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漁父之利 b) 五十步百步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3) '고지식하게 옛일에 얽매여 변화할 줄 모름'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助長 b) 五十步百步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4)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더 잘못되도록 부추김'을 뜻하는 고사성어는? a) 助長 b) 五十步百步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5)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의미를 지닌 뜻하는 고사성어는? a) 助長 b) 過猶不及 c) 守株待兔 d) 白眼視 e) 虎假狐威 26) '중국 송나라에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원숭이들에게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겠다고 하자, 원숭이들이 기뻐하였다'는 유래를 지닌 고사성어는? a) 白眼視 b) 過猶不及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7) '남의 힘이나 위엄을 빌려 두렵게 하거나 복종시킴'의 유래를 지닌 고사성어는? a) 白眼視 b) 過猶不及 c) 守株待兔 d) 朝三暮四 e) 虎假狐威 28) '過猶不及'을 바르게 읽은 것은? a) 과유부급 b) 과유불급 29) '不'의 음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a) 항상 '불'로 읽는다. b) 항상 '부'로 읽는다. c) 편한대로 읽는다. d) 'ㄷ, ㅈ'의 앞에서 '부'로 읽는다. 30) 한자성어의 특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a) 비유, 함축 b) 과장, 비유 c) 과장, 함축 d) 비유, 도치 e) 직설, 도치 31) '不'의 발음이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a) 不中 b) 不發 c) 不二 d) 不起 e) 不聞 32) 한자의 부수가 옳지 않은 것은? a) 草: 艸 b) 熱:火 c) 道:辵 d) 恒:心 e) 流:手 33) '어머니'라는 뜻을 가진 한자는? a) 靑 b) 母 c) 南 d) 民 e) 寸 34) '가르치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는? a) 敎 b) 先 c) 水 d) 校 e) 白 35) 한자성어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 a) 螢雪之工 b) 七顚八己 c) 一石二烏 d) 聞一知十 e) 咸興差吏 36) 한자성어를 바르게 표기한 것은? a) 矢音 b) 鷄卵有骨 c) 五十步白步 d) 朝三莫四 e) 守株侍土 37) ' '은 '마음이 서로 통하여 속마음을 알아주는 벗'이라는 뜻인다. ( )안에 들어갈 고사성어는? a) 知音 b) 鷄卵有骨 c) 五十步百步 d) 朝三暮四 e) 守株待土 38) '풀을 묶는다'라는 뜻의 한자어는? a) 守株 b) 待兔 c) 結草 d) 報恩 e) 千辛 39) '有骨'과 풀이 순서가 같은 것은? a) 千辛 b) 鷄卵 c) 一石 d) 二鳥 e) 知音 40) '길다'라는 뜻의 한자를 가지고 있는 한자는? a) 長幼 b) 長城 c) 助長 d) 成長 e) 一長一短

기말고사 대비 복습하기(2023년 1학기 한문)

szerző:

Ranglista

Vizuális stílus

Beállítások

Kapcsoló sablon

Automatikus mentés visszaállítás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