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성 - 실제 사물에서 공통 개념만을 뽑아내는 과정을 거치는 성질, 자의성 - 사물과 말소리의 관계가 제멋대로인 성질, 사회성 - 사물과 말소리의 관계가 제멋대로 바꿀 수 없는 성질, 역사성 - 사물과 말소리의 관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바꿜 수 있는 성질, 분절성 - 연속된 세계를 나누어 표현하는 성질, 개방성 - 새로운 개념이나 문장을 계속 만들어 낼 수 있는 연린 성질. 끊임없이 만들어진다는 측면에서 창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음운 - 음소와 운소의 준말. 뜻은 구별하는 최소의 단위, 자음 - 장애를 일으키며 내는 소리, 모음 - 장애를 일으키지 않고 내는 소리, 파열음 -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며 나는 소리, 파찰음 - 파열과 마찰이 동시에 나는 소리, 마찰음 - 공기 마찰로 나는 소리, 비음 - 콧구멍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나는 소리, 유음 - 흐르는 소리, 음절의 끝소리 현상 - 음절의 끝소리, 즉 자음이 받침에 올 때 대표음으로만 소리 난다, 비음화 -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을 만나 비음으로 소리 나는 현상, 유음화 - 유음이 아난 자음이 유음을 만나 유음으로 소리 나는 현상, 전설 모음화 - 전설 모음이 아난 모음이 전설 모음을 만나 전설 모음으로 소리 나는 현상, 구개음화 - 구개음이 아난 자임이 'ㅣ' 모음 앞에서 고개음으로 만나 소리 나는 현상, 유성음화 - 유성음이 아난 자음이 울림소리를 만나 울림 소리로 나는 현상, 경음화 - 경음이 아닌 자음이 경음으로 소리 나는 현상, 활음화 - 활음이 아닌 음운이 활음으로 소리 나는 현상, 형태소 - 뜻을 가진 최소의 단위, 실질 형태소 - 실직적 의미를 갖는 형태소 (명사, 대명사, 수사, 부사, 관형사, 용언의 어간), 형식 형태소 - 문법적 기능만 하는 형식적인 형태소 (어미, 조사, 접사), 자립 형태소 - 혼자 문장에 나타날 수 있는 형태소 (명사, 대명사, 수사, 부사, 관형사, 감탄사), 의존 형태소 - 다른 요소에 기대어야만 나타날 수 있는 형태소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미, 조사, 접사), 명사 - 사물의 이름을 가리키는 품사 (사람, 하늘, 땅), 대명사 - 명사를 대신하는 품사 (그, 이), 수사 - 숫자나 순서를 가리키는 품사 (하나, 둘, 첫째),

Clasament

Stilul vizual

Opţiuni

Comutare șablon

Restaurare activitate salvată automat: ?